T1, T2, FLAIR-Stacked Brain MRI Generation using StyleGAN2

T1, T2, FLAIR-Stacked Brain MRI Generation using StyleGAN2

1. T1, T2, FLAIR image

1-1. MRI Parameters

  • MRI(자기공명영상)란 인체 내에 있는 원자핵에 외부로부터 에너지를 주어 그 핵에서 발생하는 신호(signal)를 얻어 영상화 하는 것이다.
  • MRI에서 주로 이용되는 원자핵은 수소원자핵 내의 양성자(proton)이다.
  • 즉, 해당 양성자와 외부 에너지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MR 영상에 관련된 대조도를 묘사할 수 있는데, FatWater 두 가지 물질이 기준이 된다.
  • Fat의 T1 시간은 Water보다 짧기 때문에 Fat의 종축자화는 RF excitation pulse 후 본래 상태로 회복되는 시간이 물보다 빠르게 된다. (대한자기공명기술학회 MR입문강좌, 2002)

1-2. T1 weighted image

  • Fat과 Water 사이에 종축으로 회복되는 T1 시간 차이의 기전을 이용하여 영상화 한 것을 T1 weighted image라고 한다.
  • 다른 조직들의 T1 회복시간은 Fat과 Water 사이에 존재한다.
그림 1) T1 weighted image와 신호 및 대조도 (대한자기공명기술학회 MR입문강좌, 2002)
  • 정확한 T1 weighted image를 얻기 위해서는 T2 효과가 없는 상태에서 영상의 data를 받아야 하는데, 이런 상황을 만들기 위해 임의적으로 조절하는 것이 TR(Time Repetition)TE(Time Echo) 이다.
  • 임상적으로 T1 weighted image는 해부학적 정보에 주로 이용되는 영상으로, 조직간의 대조도를 증가시킬 목적으로 조영제 사용 시 이용되고 있다.

1-3. T2 weighted image

  • 우리 인체에 영상을 만들기 위한 필요 에너지 즉, 공명주파수(RF pulse)를 가한 직후 RF pulse를 끊는 순간부터 Fat과 Water의 횡축 자기화는 Spin-spin 상호간의 간섭과 local magnetic field inhomogenity에 의해서 빠르게 dephasing 된다.
  • Fat은 물보다 빠르게 dephasing 되고, Water는 서서히 dephasing 되어 일정 시간(80ms) 후에 Fat의 신호는 물보다 작게 보이고, Water의 신호는 크게 보이는데, 이런 영상을 T2 weighted image라고 한다.
  • T2 weighted image도 T1 weighted image처럼 TR과 TE 두 factor를 조절하여 영상화 할 수 있다.
  • TR과 TE 모두 길게 하고, 임상적으로 병변을 찾는데 이용된다.
그림 2) T2 weighted image와 신호 및 대조도 (대한자기공명기술학회 MR입문강좌, 2002)

1-4. FLAIR(Flow attenuation IR) image

  • 신호를 포착하는 위치에 따라 Fat, Water 분리 영상화를 시킬 수 있는 기법이 있다.
  • 종축자기화가 거의 없는 상태 그리고 그때 다른 조직들의 종축자기화는 존재할 때 signal을 얻는 것이 Fat Suppression 방법이다.
  • Water의 종축자기화는 거의 없고 다른 조직의 종축자기화는 존재하기 때문에 Signal이 나오는데 이런 방법을 이용하고 있는 것이 FLAIR(Flow attenuation IR) 이라고 한다.
  • 이때 TI는 2,000~2,500ms로 상당히 긴 시간이 필요하다.
그림 3) Fat or Water Suppression method와 FLAIR (대한자기공명기술학회 MR입문강좌, 2002)

2. StyleGAN2

  • StyleGAN의 문제를 분석하고, 모델의 구조와 학습 방법을 개선하였다.
  • Generator의 구조 개선
  • Generator에 Regularization을 추가하여 더 좋은 image와 latent vector의 대응
  • Path lenghth regularization (Perceptual Path Length의 활용)
그림 4) StyleGAN2 변경점

3. Stacked Brain MRI

  • BRATS 데이터셋을 활용하여 T1, T2, FLAIR 영상을 준비하였다.
  • T1, T2, FLAIR 이미지는 각각 단일 채널의 이미지이기 때문에, 세 이미지를 채널별로 쌓아서 하나의 RGB 이미지로 만들었다.
  • 이렇게 되면 각 채널별로 T1, T2, FLAIR 정보를 담고 있는 Stacked Brain MRI 데이터셋을 만들 수 있다.
그림 5) Stacked Brain MRI
  • 위의 방식대로 새롭게 합성된(synthesized) 이미지로 새롭게 데이터셋을 구성함으로써 얻고자 하는 것은, StyleGAN2에 적용을 했을 때, 합성된 이미지의 재생성 뿐만이 아니라, 각 채널 별로 즉, T1, T2, FLAIR 이미지도 잘 생성이 되는지 확인해보고자 하는 목적도 있다.

4. Training

  • 위와 같은 방법으로 총 34,100장의 Stacked Brain MRI를 만들어서 학습데이터로 사용하였다.
  • 학습은 Scratch로 하였다.
  • 학습 데이터의 양은 충분하다고 생각하여 StyleGAN-ADA의 방법은 적용하지 않았다.
  • Pre-trained model이나 Discriminator의 freezing도 적용하지 않았다.

5. Inference

  • 타겟 모달리티 이미지
    • 차례대로 T1, T2, FLAIR 영상이다.
    • 3채널 RGB 영상의 생성이 목적인데, 그 영상의 채널들을 이루는 이미지들이 T1, T2, FLAIR 이므로 타겟 이미지가 되겠다.
  • 다음의 inference들에서 보고자 하는 것은, Stacked Brain MRI를 생성할 때, 각 채널에 해당하는 T1, T2, FLAIR 영상도 각각 복원이 잘 되는지에 관한 것이다.
그림 6) 생성하고자 하는 각 채널별 Target Image Modality
  • 학습 초기 단계의 결과
    • 2 epoch이 경과한 후의 생성 이미지이다.
    • 다음의 그림 7) 에서 보여주는 영상은 타겟 이미지로의 projection 결과이다.
    • 그림 8) 에서 영상의 디테일한 부분, 즉 뇌의 영역별 구조보다는 학습 초반 단계이기에 T1, T2, FLAIR 영상이 지니는 명암적 특성에 포커스해본다면, 어느정도는 찾아가는 느낌이다. T1, T2만 보더라도 백색질과 회백질의 구분이 되는 느낌이다.
그림 7) 왼쪽이 target. 오른쪽이 generation. 초기 단계의 학습 결과. 아직은 잘 생성하지 못한다.
그림 8) 학습 초기 projection 결과의 각 채널별 이미지 시각화.
  • 학습 초중반 단계의 결과
    • 초반 단계의 학습 결과에 비해서 각 modality별 명암 특성도 잘 찾는 느낌이고 비교적 뇌 구조적인 부분도 잘 생성해가는 느낌이다.
그림 9) 왼쪽이 target. 오른쪽이 generation. 학습 초중반 projection 결과.
그림 10) 학습 초중반 projection 결과의 각 채널별 이미지 시각화.
  • 학습 중반 단계의 결과
그림 11) 학습 중반 projection 결과.
그림 12) 학습 중반 projection 결과의 각 채널별 이미지 시각화

6. 활용방안

  • 의료 영상의 특성 상 양질의 데이터를 구하는 것은 자연 이미지에 비해서 난이도가 높다.
  • 따라서, 제한된 이미지와 딥러닝을 활용하여 새롭게 이미지를 만들어낼 수 있다면 classification이나 detection, segmentation 등의 솔루션에 도움이 될 수 있다.
  • 고성능 모델의 핵심은 단연코 양질의 데이터가 최우선시 되기 때문에 많은 양질의 input data의 중요성은 언제까지나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 따라서, 위와 같은 의료 영상의 생성 기법은 여러 딥러닝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참고) 본 게시글은 학습 결과에 따라서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될 예정입니다.